본문 바로가기
아동 건강 학술 리뷰

VR게임이 비만 아동의 스트레스와 식습관에 미치는 영향

by 1NG2L 2025. 8. 23.
반응형

VR게임 비만아동의 스트레스

 

VR게임이 비만 아동의 스트레스와 식습관에 미치는 영향

현대 사회에서 가상현실 게임이 아이들 사이에서 급속히 확산되고 있지만, 비만 아동들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과학적 연구는 부족한 상황입니다. 최근 발표된 국제 연구에서는 8세에서 17세까지의 비만 아동 30명을 대상으로 VR게임 노출 시 나타나는 생리적 변화와 식습관의 연관성을 깊이 있게 분석했습니다.

 

연구진은 참가자들에게 두 가지 서로 다른 VR 환경을 경험하게 했습니다.

첫 번째는 평온한 숲 환경으로 마음을 안정시키는 역할을 했고, 두 번째는 자극적인 인터랙티브 게임으로 스트레스 상황을 유발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심박변이도를 통해 자율신경계의 반응을 실시간으로 측정했으며, 동시에 타액 내 코르티솔과 알파-아밀라아제 수치를 분석하여 스트레스 호르몬의 변화를 추적했습니다.

 

연구 결과

1. 자율신경계 반응의 변화

VR게임에 노출된 아이들은 숲 환경과 비교했을 때 평균 RR 간격과 RMSSD(연속 RR 간격 차이의 제곱근 평균)가 유의하게 감소했고, 평균 심박수와 LF/HF 비율이 유의하게 증가했습니다. 이는 교감신경 활성화가 증가했음을 의미합니다.

2. 스트레스 호르몬의 반응

흥미롭게도 타액 알파-아밀라아제는 93%의 참가자에서 증가했지만, 코르티솔 반응은 13%의 참가자에서만 증가를 보였습니다. 이는 비만 아동들이 일반적으로 보이는 둔화된 HPA축 반응과 일치하는 결과입니다.

 

연구진이 요인분석을 통해 발견한 가장 중요한 점은 생리적 반응 패턴이 두 가지로 구분된다는 것입니다.

첫 번째는 부교감신경 반응성으로, RMSSD와 SDNN의 변화와 관련이 있었습니다. 두 번째는 교감신경 활성화로, 심박수 증가와 알파-아밀라아제 상승과 연관되었습니다. 이러한 분류는 아이들마다 스트레스에 대응하는 방식이 다르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가장 주목할 만한 발견은 이러한 생리적 반응 패턴이 식습관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점입니다. 부교감신경 반응성이 높은 아이들은 통제되지 않는 식습관을 보일 가능성이 높았습니다. 이는 역설적인 결과로, 일반적으로 부교감신경 활성화는 안정된 상태를 의미하지만, 이 경우에는 오히려 식욕 조절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반대로 교감신경 활성화가 강한 아이들은 인지적 억제, 즉 의식적으로 음식 섭취를 제한하려는 경향을 보였습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비만 아동 치료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합니다. 먼저 개별화된 접근법의 필요성이 강조됩니다. 아이들의 생리적 반응 패턴에 따라 서로 다른 치료 전략이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부교감신경 반응성이 높은 아이들에게는 내적 신호에 대한 인식과 조절 능력을 키우는 훈련이, 교감신경 활성화가 강한 아이들에게는 과도한 억제보다는 균형 잡힌 식습관 형성이 더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또한 VR기반 치료의 가능성도 확인되었습니다. VR 환경이 실제적인 스트레스 반응을 효과적으로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은 안전하고 통제된 환경에서 치료적 개입을 할 수 있는 새로운 도구가 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아이들이 스트레스 상황에서 보이는 반응을 미리 파악하고, 이에 맞는 대처 방법을 훈련시킬 수 있는 것입니다.

 

아동기의 스트레스가 식습관 연관성을 이해하는 것은 성인기 비만 예방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합니다. 어린 시절 형성된 스트레스 대응 패턴과 식습관은 성인이 되어서도 지속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조기 개입을 통해 건강한 스트레스 관리 능력과 식습관을 형성하는 것이 장기적인 건강 관리에 핵심이 됩니다.

물론 이 연구에는 한계점도 있습니다. 상대적으로 작은 표본 크기와 단면 연구 설계로 인해 장기적인 영향을 파악하기 어렵다는 점입니다. 또한 VR게임 노출이 실제 일상생활에서의 식습관 변화에 미치는 지속적인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종단 연구가 필요합니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VR게임이 비만 아동들에게 실제적인 생리적 스트레스 반응을 유발하며, 이러한 반응이 개인의 식습관 패턴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과학적으로 입증했습니다. 앞으로 VR기술을 활용한 비만 예방과 치료 프로그램 개발 시에는 아이들의 개별적인 생리적 반응 패턴을 고려한 맞춤형 접근법이 필수적일 것입니다.

 

 

 


Onita, C.A., Autonomic and Neuroendocrine Reactivity to VR Game Exposure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Obesity: A Factor Analytic Approach to Physiological Reactivity and Eating Behavior, Nutrients 17(15): 2492, 2025

 

 

 

반응형